git의 3가지 영역

1. Working Directory
내가 작업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디렉토리
내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git이 포함되어 있는 폴더

2. Staging Area
밋을 하기 위해 $ git add 명령어로 추가한 파일들이 모여있는 공간

코드를 작성하다가 커밋을 해야할 때 $ git add .를 통해 커밋할 파일들을 추가
이 파일은 바로 Repository에 올라가지 않고, Staging Area에 올라가게 된다.
Staging Area에 추가한 파일들을 Commit을 한다면 최종적으로 저장소(Repository)로 저장
3. Repository
커밋들이 모여있는 저장소

바로 commit 하지 않고 staging area를 거치는 이유
Git의 Staging Area는 어떤 점이 유용한가
Git에는 Staging Area라는 공간이 있다. 어떤 변경사항이 저장소에 커밋되기 전에, 반드시 거쳐야만 하는 중간단계이다. 다른 버전관리도구에는 이에 정확히 대응하는 것은 없다. 저장소가 추적하는
blog.npcode.com
'git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github] branch 병합(merge) (0) | 2023.09.07 |
---|---|
[git][github] branch와 branch생성 (0) | 2023.09.07 |
[git][github] git을 사용하는 이유 (0) | 2023.08.30 |
[git][github] 기초 커멘드 라인 (0) | 2023.08.30 |
[git][github] commit 내용 관리하기 (0) | 2023.08.29 |
git의 3가지 영역

1. Working Directory
내가 작업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디렉토리
내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git이 포함되어 있는 폴더

2. Staging Area
밋을 하기 위해 $ git add 명령어로 추가한 파일들이 모여있는 공간

코드를 작성하다가 커밋을 해야할 때 $ git add .를 통해 커밋할 파일들을 추가
이 파일은 바로 Repository에 올라가지 않고, Staging Area에 올라가게 된다.
Staging Area에 추가한 파일들을 Commit을 한다면 최종적으로 저장소(Repository)로 저장
3. Repository
커밋들이 모여있는 저장소

바로 commit 하지 않고 staging area를 거치는 이유
Git의 Staging Area는 어떤 점이 유용한가
Git에는 Staging Area라는 공간이 있다. 어떤 변경사항이 저장소에 커밋되기 전에, 반드시 거쳐야만 하는 중간단계이다. 다른 버전관리도구에는 이에 정확히 대응하는 것은 없다. 저장소가 추적하는
blog.npcode.com
'git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github] branch 병합(merge) (0) | 2023.09.07 |
---|---|
[git][github] branch와 branch생성 (0) | 2023.09.07 |
[git][github] git을 사용하는 이유 (0) | 2023.08.30 |
[git][github] 기초 커멘드 라인 (0) | 2023.08.30 |
[git][github] commit 내용 관리하기 (0) | 2023.08.29 |